본문 바로가기
각종 지원정보 및 지원금 정보

고용유지지원금 받았지만 실제 근무시켰다면 전액 부정수급” 대법원 판결 정리

by HangulBuddy(한국어 친구) 2025. 6. 9.
반응형

 

2025년 6월, 고용유지지원금과 관련된 중요한 대법원 판결이 나왔습니다.
이번 판결은 일부라도 실제 근무한 직원에게 지급된 고용유지지원금은 전액 부정수급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고용주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사례입니다.


⚖️ 대법원 판결 요지

  • 사건 개요
    강원도 춘천에서 영화관을 운영하는 A사는 2020년 코로나19로 매출이 급감하자, 고용노동청에 5회에 걸쳐 직원 휴직 계획을 신고하고 총 3,020만원의 고용유지지원금을 수령했습니다.
  • 문제 발생
    A사가 휴직 기간 중에도 일부 직원에게 실제 근무를 지시했다는 신고가 접수되었고, 노동청은 조사를 거쳐 부정수급 판단을 내렸습니다.
  • 노동청 조치
    실제 근무한 직원에게 지급된 약 1,900만원의 지원금 반환3,800만원의 추가 징수를 명령.

🧑‍⚖️ 법원의 판단 변화

  • 1심·2심 판단
    실제 근무한 기간만 부정수급으로 판단 → 부분 반환만 인정
  • 대법원 판단 (최종)
    “연속 1개월 이상 휴직”이라는 고용유지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면, 해당 지원금은 전액 부정수급에 해당
    실제 근로일수에만 한정해 반환을 명한 원심 판결은 법리 오해

📌 핵심 포인트 요약

  1. 고용유지지원금은 ‘연속 1개월 이상 휴직’이라는 요건 충족 시만 적법
  2. 실제 일부 근무한 경우, 전체 기간에 대해 지원금 반환 및 추가 징수 가능
  3. 부분 반환 주장도 인정 안 돼, 전액 반환 판결 가능성 있음
  4. 사업주는 휴직 계획 이행 여부에 대해 철저한 관리 필요

🛡️ 사업주가 유의할 점

  • 지원금 신청 전후로 실제 휴직 이행 여부 점검 필수
  • 근로기록, 지시사항, 출근자료 등 증빙 철저 관리
  • 부정수급 적발 시 최대 5배까지 추가 징수 가능

📚 참고 법령

  • 구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21조
  • 고용유지조치 관련 지침 및 해석 기준

🔖 마무리

고용유지지원금은 어려운 시기에 고용을 유지하려는 사업주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지만, **형식만 갖추고 실질적으로 근로를 시킨다면 그 자체가 '부정수급'**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대법원 판결은 형식과 실질 모두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한 사례로, 고용주라면 꼭 숙지해야 할 판례입니다.

반응형